기독교학술원, 제74회 월례포럼

▲ 발제자. 왼쪽부터 김광연 박사(숭실대), 원장 김영한 목사, 이상원 교수(총신대 신학대학원)
▲ 발제자. 왼쪽부터 김광연 박사(숭실대), 원장 김영한 목사, 이상원 교수(총신대 신학대학원)


“우리는 생명공학 기술이 인류에게 가져다줄 편익과 윤리적 반성을 균형 있게 성찰해야하고, 무엇보다 개혁신학적 입장에서 그 기술이 가진 윤리적 문제들에 대해 살펴야할 것이다.”


이것은 2월 14일 서울 양재 온리교회 화평홀에서 ‘우생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이란 주제로 열린 기독교학술원(원장 김영한 목사, 숭실대 명예교수, 샬롬나비 대표) 제74회 월례포럼에서 김광연 박사(숭실대)가 제안한 내용이다.


김영한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발표회에서 김 박사는 ‘신체 개량 기술에 관한 신학적 성찰 - 개량주의 우생학과 신 놀이를 중심으로’란 부제의 발제에서 “복제기술,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편집, 면역력 강화제, 인지기능 향상 기술, 노화 억제제, 수명 연장과 관련한 인체냉동 보존술, 로봇기술로 인한 인체장기 등 생명공학 기술로 인류(호모 사피엔스)는 호모 데우스가 되고 있다. 과학기술을 통해 인류의 생명이 연장되고 죽음을 초월하는 영원히 살 수 있는 호모 데우스가 되어간다면 우리는 신의 존재를 거부하게 될 것”이라며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영원히 살고 싶은 줄기세포 치료제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그리스도와 함께 영생하는 삶을 살 것인지를 스스로에게 질문해야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생명공학에 대한 개혁신학적 성찰과 관련, “△우리는 과학 기술 발전과 그 기술이 지나치게 상업적인 목적을 향해 발전하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 △생명공학 기술은 동식물뿐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지배하려고 한다 △하나님 놀이(playing God)에 대한 기술의 위험성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 △생명의 시작과 끝을 주관하는 이는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아야한다.”며 “생명공학의 1%의 가능성이라도 기독교는 예의주시하면서 생명윤리문제 에 대해서 고민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원 교수(총신대 신학대학원)는 이에 대한 논평에서 “발제자는 생명과학기술을 통한 생명 연장의 가능성에 대해 상당히 낙관적인 관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기술은 명백한 한계가 드러나고 있고 지금 그 한계를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미 생명공학기술은 일부 특정한 분야에서 반짝 성과를 거두는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사양길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며 “생명공학기술이나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생명이 연장될 수 있다고 해도 그 생명은 현세의 생명과 동일한 생명의 연장일 뿐이다. 인간의 힘으로 현세이 망가진 삶을 이리저리 꿰매고 기워서 억지로 생명을 연장하여 사는 누더기 같은 삶과 하나님이 새롭게 마련하신 영광스러운 새로운 삶을 수평적으로 비교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발표에 앞서 김영한 원장은 개회사에서 “오늘날 자유주의 우생학은 생명윤리의 엄격한 규제를 받아야한다. 여기에 기독교 생명윤리는 중요한 지침을 줘야한다.”며 “△인간 중심적 효용 위주의 기술은 규제돼야 한다 △생명공학 기술의 한계를 인정하고 겸손해야한다 △생명공학 기술은 창조질서에 순응하는 가치를 지향해야한다.”고 말하고, “생명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생명의 존엄성을 깨우치면서 생명공학 기술의 위험성과 안정성을 논의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의 윤리 공동체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