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 총회교육원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 가정예배 정착과 활성화 위해 지속적·간단·가족 모두 참여 등 제안

고신 총회교육원은 3월 26일 부산 신흥교회당에서 ‘가정예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사진). 이 세미나에서는 유해무 교수, 임경근 목사, 신승범 교수, 박신웅 목사가 발제했다. 이어 송도제일 한밭 드림 교회의 가정예배 실제가 발표됐다. 이에 신승범 교수와 박신웅 목사의 발제 내용을 중심으로 가정예배에 대해서 살펴봤다.


가정예배,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학적 접근-


▲ 신승범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 신승범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성경과 기독교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신앙교육(전수)의 주요 현장으로 존재했던 가정이 주일(교회)학교의 성장과 함께 신앙교육의 현장에서 철저히 소외됐다. 가정 신앙교육은 주일학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성격과 성경과 기독교 역사 가운데 언제나 일관되게 신앙교육의 현장이었던 가정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회복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가정예배는 가정 신앙교육의 중심에 있다. 가정예배는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육 실천’ 방법이다. 가정예배는 자녀에게 신앙을 가르치고 보여줄 수 있는 ‘교육의 현장’이며 동시에 은혜의 수단이다.”


신승범 교수(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과)는 ‘가정예배,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학적 접근’이라는 주제의 강의에서 “부모들은 신앙교육의 측면에서 가정의 영향력을 인정하면서도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르치는 신앙교사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부담스러워하거나 어려워한다.”고 지적하면서 “기독교 교육학자인 클라우스 이슬러가 제안한 총체적 화목은 가정 신앙교육의 궁극적 목표가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천 목표들은 가정교육의 현장인 가정과 부모에 의해 다뤄질 수 있는 주제가 된다.”고 주장한다.


신 교수는 밥상머리 교육으로부터 배우는 가정 신앙교육의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과 함께 가정 신앙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가정예배를 제안했다. 교회가 한 명의 학생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시간은 1년에 40시간,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간은 3000시간이다. 이 지점에서 기독학부모의 각성이 요구된다. 신 교수는 가정예배의 교육적 기대 효과로서 신앙, 사랑, 가치, 소명이 자라는 것을 제시한다.


신 교수는 “인성의 부재를 가정교육의 부재로 인식하고 교육적 대안으로 밥상머리 교육을 시행한 교육부의 시도는 가정을 전인적 신앙교육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있는 기독교들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고 전제하고, “가정을 기독교교육의 주요현장이라고 강조하면서 정작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의 부재는 다음 세대의 제자화 실패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정에서 신앙교사로서의 부모의 책임과 역할의 회복이다. 부모는 가정 신앙교육의 중심에 가정예배를 둬야 하고, 함께 예배함을 통해 자녀의 신앙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고 강조한다.


“가정예배가 신앙 성숙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몇 가지 교육 장치들이 필요하다.”고 신 교수는 귀띔한다. 가정예배는 의도적, 꾸준히 드려야하며, 가정예배의 성공은 부모의 모범에 달려있다. 가정예배의 의사소통은 필수적이다.


신 교수는 “신앙교육은 신앙공동체 전체의 책임이며 가정은 신앙교육의 주요현장이고 부모는 신앙교육의 교사로서 할 수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가정예배의 형태에 대한 분석과 실제적 제언


▲ 박신웅 목사(고신 총회교육원 원장)
▲ 박신웅 목사(고신 총회교육원 원장)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정신을 이어받은 스코틀랜드 교회는 1647년 8월 24일 총 14장에 걸쳐 ‘가정예배 지침서’를 제작해 발행했다. 이 지침서는 이전에 없었던 보다 체계적, 구체적, 공식적, 실제적 가정예배의 모범을 보여주며 이후의 여러 가정예배의 기준을 제시한다.


박신웅 목사(고신 총회교육원 원장)는 ‘가정예배의 형태에 대한 분석과 실제적 제언’이라는 주제 강의에서 ‘가정예배 지침서’와 관련, “가정예배는 △가족 전체의 영적, 교육적 유익을 주고 △가장의 영적 책무를 분명히 해주며 △주일예배의 은혜를 지속시키며 주일학교 교육에서 주지 못하는 교육적 효과를 갖게 하고 △가족과 교회, 이웃과 나라를 위한 기도시간을 두어 기도하게하고 이 모든 것을 통해 영적 성숙과 성화로 나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고 제시한다.


박 목사는 ‘가정예배 지침서’ 이후 제임스 알렉산더, 보디 바우컴, 조엘 비키, 도널드 휘트니가 말하는 가정예배의 유익에 대해서 설명했다. 스코틀랜드 교회의 ‘가정예배 지침서’의 가정예배 유형은 기도와 찬양, 성경 읽기(교리 문답 포함), 훈육(권면과 질책, 토론 포함)이다.


제임스 알렉산더가 주장하는 가정예배 유형은 성경 읽기(내용 설명 포함), 기도, 찬양이다. 알렉산더는 가정예배 시간을 비교적 짧게 하도, 규칙적이고, 계획적으로 할 것을 당부한다. ‘가정예배 지침서’와 제임스 알렉산더의 영향을 받은 가정예배 유형은 비슷한듯하나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두 주요한 가정예배 형식은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성경 읽기, 기도, 찬양, 성경 가르치기, 훈육이 그것.


박 목사는 “대한민국 교회에서 시행되고 있는 가정예배 형태는 전체적으로 ‘성경 읽기-기도-찬양’의 구조를 놓지 않고 있지만 조금씩 지향하는 바에 따라 특징과 방향에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이와 함께 박 목사는 이영훈 목사의 ‘물댄 동산’, 임경근 목사의 ‘365 가정예배’, 송도제일교회의 ‘야곱의 식탁’, 고신 총회교육원의 ‘쓰는 가정예배’, 백흥령 목사의 ‘보석비빔밥 가정예배’, 심형섭 교수의 ‘가정예배 건축학’ 등 대한민국 내 가정예배 유형에 대해 소개했다.


박 목사에 따르면 근래 대한민국 교회 가정예배는 △고정된 형태에서 유동적 형태로 △성경 읽기와 교리 중심에서 활동 중심으로 △교육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의무에서 은혜와 축복으로 △단회적 예배에서 영구적 활동과 기록으로 △다양한 연계된 활동으로 변화되고 있다.


박 목사는 가정예배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간단하게 하라 △식사와 함께하는 시간 먼저 가지라 △가족 구성원 전부가 참여하는 방식을 택하라 △형식은 기본적인 요소인 ‘성경 읽기-찬양-기도’를 포함하되 너무 복잡하지 않게 진행하라 △가장이 책임감을 갖고 진행하도록 하라 △주일 공예배와 이어지는 소그룹 모임과 연계되는 방식을 고민하라 △가족들이 자유롭게 토론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다양한 시도들이 가능함을 인정하라 등을 제언하면서 “근래 미국 교회의 가정예배 유형인 ‘Faith 5, 가족의 밤, Faith Talk’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가정예배 시도들을 참고하자.”고 제기했다.


저작권자 © 고신뉴스 KN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